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list

(3)
ADT: 추상 자료형 ADT - Abstract Data Type 추상적으로 정의된 자료형 데이터를 추상화하여 논리적인 구조를 정의한 것 게임에서 캐릭터를 구현한다고 하면, 캐릭터의 동작, 속성들은 컴퓨터가 연산할 수 있는 자료형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현실에 존재하는 개념 등을 구현하기 위해 원하는 자료형으로 만든 것을 의미. Python으로 예를 들면 Python에서는 주로 Class를 통해 추상 자료형을 만든다. 예를 들어 '자동차' 라는 개념의 추상자료형을 만들고, 이 추상자료형의 속성으로 이름, 브랜드를 정의할 수 있다. class Car: def __init__(self, name, brand): self.name = name self.brand = brand def describe(self): print(f"이 차..
중복을 없애며 list 합치기 # set에 list 합치기 중복 가능 여부: set : X ex) 1,2,2,2,3 을 set에 담는다면 -> {1,2,3} 만 가능 list : O ex) 1,2,2,2,3, 을 list에 담는다면 -> [1,2,2,2,3] 가능 set에 list의 요소를 담아서 중복이 없는 항목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때 list를 for문을 돌면서 set에 add 해주는 방법 말고 한번에 하는 union을 쓰면 됩니다. sample_set = {1,2,3,4,5,6} sample_list = [1,3,5,7,9] new_set = sample_set.union(sample_list) print(new_set) 결과값: {1, 2, 3, 4, 5, 6, 7, 9}
list index: list에서 특정 값의 순서 찾기 python list index fruits = ['apple', 'banana', 'peach'] banana_index = fruits.index('banana') print(banana_index) 결과값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