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3) 썸네일형 리스트형 Nginx: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 file size 이미지 파일 등을 올릴 때 Nginx에서 정한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 나타나는 에러 문구 /etc/nginx/nginx.conf 또는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 에서 설정을 바꿔보자 client_max_body_size 50m; 50 메가 바이트까지 파일의 크기를 올릴 수 있게 지정 아래와 같이 특정 loation에 대해 client_max_body_size도 별도로 설정 가능 http { # Global Nginx settings client_max_body_size 50m; # Set the maximum body size for all servers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example.com; # Set the maximum bo.. Nginx static file 403 forbidden error # Nginx Static file을 못잡는 경우 실행환경: AWS EC2 - Ubuntu22.04 문제상황: EC2 환경에서 Nginx로 django의 static file이 읽어와지지 않는 오류를 마주했습니다. static file들이 있는 경로에 접근을 못하는 403 error (permission denied)가 발생 원인 및 해결방안: Nginx와 연결시키려는 WAS의 모든 경로는 +x 실행 권한을 줘야 한다. EC2 첫 생성시 ubuntu 라는 username으로 시작 기본 $HOME 경로 -> /home/ubuntu ls -l /home 명령어로 ubuntu의 실행권한을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home/ubuntu 의 실행권한 x가 없다. 여기에 권한을 줘야 Nginx가 문제없이 접근 가능 내 django-project의 경로는 /h.. Nginx Django static file 경로 설정하기 실습 운영체제: Linux(Ubuntu) Nginx를 이용해서 Django web app을 배포할시에, static file 들을 경로를 설정해줘야 합니다. STATIC_URL, STATIC_ROOT 를 설정하고 python manage.py collectstatic STATIC_ROOT는 배포용에 쓰이는 static 경로이고 STATIC_DIRS는 개발단계에서 쓰이는 static 경로라 보면 됩니다. 2개를 가각 다르게 설정해줘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STATIC_URL = '/static/' STATICFILES_DIRS = [os.path.join(BASE_DIR, "static"),] STATIC_ROOT = os.path.join(BASE_DIR, "var", "stat.. 이전 1 다음